스티렌과 디엔의 느린 속도의 음이온중합
- 전문가 제언
-
○ 폴리부타디엔은 산업적인 규모로 최초로 음이온중합을 통하여 생산되었으며 또 최초로 리빙중합법이 개발되었으나 산업적 생산규모로는 라디칼중합을 통하여 얻어지는 생산량에 비해 매우 적다. 그 이유는 음이온중합은 물과 같은 염기성물질의 존재에 의해 중합이 금지되며 또 저온에서 시행되어야 되는 엄격한 반응조건이 요구되기 때문에 산업화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 리빙중합은 연쇄이동이나 정지반응 없이 단량체가 완전하게 소진될 때까지 반응이 진행되며 또 개시반응이 정량적이며 성장반응에 비해 빠를 때는 고분자 사슬의 길이가 정확하게 규제되고 분자량 분포가 좁은 고분자 즉 규제된 고분자를 얻을 수 있다.
○ 산업적인 규모의 스티렌이나 디엔류의 리빙중합이 실현된다면 라디칼 중합에서 행해지는 미반응 단량체나 저분자량의 올리고머를 제거하기 위한 세정이나 탈기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또 고분자 사슬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머리-머리 결함이 없으므로 라디칼중합된 폴리스티렌에 비해 우수한 열 안정성을 가지며 또 나노구조물의 구축에 이용될 수 있다.
○ 시장에서 산업적으로 널리 채택되고 있는 라디칼중합과 경쟁하여 경제적으로 중합 조절이 가능한 폴리스티렌의 음이온중합 조건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새로운 음이온 중합계에서는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값싼 개시제를 사용하고 비교적 높은 반응온도에서 시행하는 중합계를 개발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하여야 한다.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의 필자들은 소위 높은 농도에서도 낮은 반응성을 가진 활성종과 폴리스티렌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반응계의 점도를 감소시킨 상태에서 중합반응이 진행되는 소위 느린 속도의 음이온 리빙중합계를 개발하였으며 본고에서 이를 소개하고 있어 리빙음이온 중합과정의 산업화에 매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 저자
- Stephane Carlott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50(14)
- 잡지명
- Polym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057~3067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