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체흡수성 탄성고분자물질로 된 동맥보강기구와 그의 응용

전문가 제언
○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고 의료기술이 발전하면서 각종 인공조직 및 기구들을 인체에 삽입하게 되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인체에 삽입하는 인공기구들로는 인공뼈에서부터 인공신장 등 그 수와 종류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이들 인공조직 및 기구들의 가장 큰 숙제는 생체에 부작용을 줄이는 일이다.

○ 인체에 삽입하는 기구로 가장 흔히 쓰이고 중요한 것으로는 스텐트를 들 수 있다. 스텐트는 좁아진 혈관을 확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초기에는 풍선 확장방법을 사용했으나 재협착 발생률이 높았었다. 새로 등장한 스텐트 삽입방법, DES(Drug Eluting Stent)에 의해 재 협착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으나 스텐트 내부의 협착, 혈전문제 등 해결해야할 과제가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최근에는 생체흡수성 DES 시스템이 등장하여 차세대 PCI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본 발명은 스텐트로 사용하기 위한 재료로 선형고분자와 가교제를 사용하여 s-IPN 고분자를 이용한다. 또한 s-IPN 스텐트에는 마이크로 포아와 세로로 찢어진 스키브를 가지고 있어 세포의 부착 및 증식을 도와 조직형성을 빠르게 하고 생분해 속도와 함유된 약물의 방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국내에서도 스텐트는 많이 시술되고 있고 병원 등에서 임상시험과 연구도 활발하다. 시술되고 있는 스텐트는 아직 대부분 금속제품이며 고분자재료의 스텐트는 임상단계라고 말할 수 있고 대부분 수입제품들이다. 스텐트 개발은 디자인, 제작, 코팅, 약리학, 임상 등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며 기업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다.

○ 국내의 의료기술과 고분자합성기술은 이제 거의 세계적 수준에 있으나 의료소재 개발은 극히 한정적이고 벤처회사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의료기구들은 특성상 많은 임상비용이 소요되고 생산된 제품은 국내시장만으로는 경제단위가 되지 못하여 해외마케팅이 필수적이나 벤처회사들의 능력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의료용 재료들의 개발을 위해서는 정책적인 배려와 특별한 대책들이 필요하다.
저자
Medivas, LL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WO20090011938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5
분석자
박*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