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속독 기술
- 전문가 제언
-
○ 21세기의 복잡한 사회에서 넘쳐나는 각종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은 어느 한 분야의 정보에만 집착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한 가지 정보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없는 입장에서 특히 화상이나 영상정보를 접할 때 신속한 내용 파악이 매우 중요해졌다.
○ 방송, 영화, 비디오 등에서 영상 정보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영상 시청에 허용할 수 있는 시간은 유한하다. 이 글에서는 영상을 단시간 내에 속독하는 기술과 현재의 영상 속독 서비스 사례에 대해 고찰하였다. 속독은 영상 시청에 소요되는 시간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영상 처리의 중요한 연구 주제이기도 하다.
○ 신문이나 광고에서는 표제를 보고 내용을 짐작할 수 있으며 상세내역을 볼 것인지 말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논문과 같은 문서인 경우는 초록(요약)이나 결론을 보면 전체 내용을 파악할 수 있지만 영상의 경우는 단지 몇 장면만으로 장시간의 내용 중 주요 내용을 전달하기가 쉽지 않다.
○ 음성 정보는 효과음으로 전체의 분위기 전달이 가능하다. 극적인 영상장면은 대개 효과음을 동반하므로 이와 연계하여 효과음의 발생장면에서 중요한 이벤트 장면을 추출하거나 감성 정보에 주력하여 의미적인 구조를 추출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음성 검색기술을 사용하면 비디오를 모두 보지 않고도 텍스트를 간단하게 훑어볼 수 있으므로 편집하는 동안 원하는 콘텐츠 부분을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 고도화되고 유비쿼터스화된 정보사회에서 많은 영상 정보를 접하게 되는 오늘날의 현대인은 시간과 일에 ?기는 분주한 생활을 하고 있다. 각종의 다양한 정보미디어 속에서 효율적인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필터링하기 위해서는 영상 속독 기술은 필수적이 되고 있다. 속독을 위한 영상 정보의 진보된 압축 기술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 저자
- Kota Hidaka, Takashi Sato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63(1)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6~41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