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대항해 프로젝트' 에서의 화상, 영상처리 기술 소개
- 전문가 제언
-
○ 각종 영상 및 화상 자료가 인터넷상에서 유포되고 있고 이러한 자료를 여러 사람이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각각의 자료에 메타 데이터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유저는 이들 자료를 검색을 통하여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오늘날은 ‘유투브(YouTube)’를 통해서 개인이 제작한 동영상도 인터넷에서 널리 유통되고 있다. 인터넷의 범용성, 확산성 등을 고려하면 보다 많은 유저가 이용하기를 바라는 것이지만, 이에 의한 부작용도 간혹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 본고는 일본에서의 인터넷 자료 이용과 특히 화상 및 영상의 범용성을 촉진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된 ‘정보 대항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화상 및 영상정보의 대량 이용을 위한 정보검색 방법과 처리 기술의 응용성에 대한 고찰이다.
○ 이미지 프로세서의 기술 발전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오늘날은 고용량의 이미지나 몇 시간분의 영화도 쉽게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일이 가능하게 된 배경에는 화상이나 영상에 부여된 고유의 메타 데이터가 가진 역할이 크다.
○ 각 지방자치단체나 소규모 개인기업 등의 선전을 위한 광고에도 이용할 수 있는 이러한 화상 및 영상자료가 더 널리 이용되기 위해서는 적절하고도 정확한 메타 데이터 관리가 필요하다. 원하지 않는 불법자료가 링크되는 경우도 있는 것을 볼 때 이러한 메타 데이터의 자료관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할 것이다.
○ 본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필요 정보를 정확히 검색?해석하기 위한 차세대 정보 검색 기술을 개발하여 널리 보급시키는 것이 중요한 일이지만, 한편으로는 불법정보 유포에 의한 피해도 있기 때문에 정보의 암호화와 같은 원하지 않는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는 새로운 장치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Miki Haseyama, Toru Hisamits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63(1)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42~47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