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새로운 녹색경제와 일자리 질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미국에 있어서 새로운 녹색경제와 일자리의 질“을 주제로 하여 녹색일자리에 대한 몇 가지 관점, 제조부문, 건설부문, 폐기물관리부문, 화물운송부문,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풍력 및 태양발전부품제조, 녹색건설, 재활용부문이 새로운 녹색경제의 핵심이 되고, 최근에 녹색투자는 심화되고 있는 경제 불황에 대한 대책으로 제시되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녹색경제는 모든 경제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감축하여 지구의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녹색기술개발 및 환경친화적 경제모델도입 등을 통해 녹색산업구조를 구축하여, 친환경적인 경제기반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대체에너지 및 재생가능에너지 개발과 투자활동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화석연료의존 탄소경제에서 벗어나 환경을 개선하고, CO2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녹색성장이 세계경제를 이끌어간다는 개념이다.
○ 녹색경제에서는 생태계보전, 자원순환형 사회구축,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의 전환, 녹색농촌 등의 활동으로 일자리창출이 추구된다. 최근에 UN 환경계획기구는 국제경제구조를 녹색경제형으로 전환함으로써 환경보호와 함께 환경산업을 기반으로 한 일자리창출 등 경제성장을 추진하도록 각 국가별노력을 촉구하였으며, 녹색경제를 향한 노력에서 정부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일본은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투자를 통해 녹색경제 실현을 선도하고 있으며, 중국은 최근 환경을 개선하여 녹색경제구축을 위한 정책과 투자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오바마대통령은 녹색경제를 통하여 5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야심을 피력하였다.
○ 우리나라는 녹색경제의 구현과 녹색일자리 창출을 위해 녹색기술 분야의 R&D 프로젝트가 추진될 수 있는 새로운 R&D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고, 저탄소기업에 대한 장기적 투자를 지원하는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우리 사회는 녹색경제시대 패러다임에 맞는 지속가능사회 시스템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PhilipMatte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9
- 권(호)
- ~`(``)
- 잡지명
- Good Jobs First(repor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46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