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센서 응용을 목표로 하는 기능성 세라믹스의 연구개발

전문가 제언
○ 센서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며 그 종류도 무수히 많다. 센서는 인간의 오감기능이나 초감각의 육감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기본으로 하는 분야가 크게 확산되고 있다.

○ 세라믹스가 센서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고온, 다습, 반응성 혹은 부식성 분위기 등의 가혹한 조건에서 신뢰성이 높은 재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인 재료의 전기, 광학, 기계적인 특성은 조성변화로 조절이 가능하나 세라믹스는 조성변화 이외에 제조공정 조건에 의해서 미세구조 변화를 제어함으로서 특성 조절이 가능하다.

○ 세라믹스의 응용분야를 구분하면 온도, 습도, 가스, 이온, 압전, 광 등에 이용된다. 또한 한국센서기술진흥회의에서 센서의 체계적인 분류와 수출입시에 해당 품목의 적용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센서를 역학, 전자기, 화학, 생물, 광, 방사선, 음향, 열, 기타의 9개 분야로 분류(센서HSK)하여 적용하고 있다.

○ 이 문헌에서는 세라믹 센서의 소형화, 고기능화에 대응한 연구 개발과 적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 예로 환경모니터에 이용되는 화학센서, 전자파를 함유한 광을 이용하는 센서, 전자파를 이용하는 센서, 표면 플라스몬(plasmon) 센서 등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 세라믹 센서는 민생기기에 정밀하게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 농수산업, 환경보전, 재해방지, 교통, 의료, 가장생활 등에 새로운 센서 도입이 계속되고 있다. 향후 센서발전을 예측하면 물리센서 분야는 지능화, 다원화로 발전하고 화학센서는 다양화, 분자식별화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 국내 센서시장은 5천억(2005년, 센서연구조합)정도이며, 전체의 60~70%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 기술이 미비한 상태이나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계속 좁혀나가는 시점이다. 따라서 더욱 과감한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와 신기술 확보가 중요한 상황이라고 생각된다.
저자
Hajime Hane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57(8)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22
분석자
김*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