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식품안전성 영향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성 영향”을 주제로 하여 예상되는 기후변화가 식품안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과 식품사슬의 모든 단계에 걸치는 그 통제를 확인하고, 이슈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며, 변화하는 식품안전 상황의 이해와 기후변화의 잠재적 영향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의 수립 및 실행에 있어서 국제협력을 촉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 또한, 이 글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식품안전성 이슈에는 동물원성 감염질병이 특별히 고려된 식품내생적 질병의 병원체, 마이코톡신(Mycotoxin, 진균의 독성) 오염, 수산식품의 생물독소 및 식품사슬에서 심각한 환경오염이 포함된다. 이울러, 극단적인 기상이변 현상에서 생기는 비상상황의 효과적 관리에 대한 대비를 확실하게 하는 데 있어서 식품안전에 대한 충분한 조치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기후변화는 온실가스 배출에 의한 지구온난화로 발생하는 기상이변으로서 21세기에는 더욱 확산되어 인류에게 엄청난 재해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온상승, 폭염, 가뭄, 홍수, 폭풍, 해수면 상승 등 기후변화가 오늘날 가장 관심을 끌고 있는 환경문제이자 경제문제로 인류사회에 다양한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가 토양, 대기, 물 등에 변화를 가져와 농작물, 축산물, 수산물에 피해를 주고 그 생산을 감소시킨다.
○ 기후변화가 농업, 축산업, 수산업 등에 큰 영향을 미쳐서 미래에 인류의 식품안전을 크게 위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미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책이 수립, 시행되고 있다. 환경파괴와 환경오염으로 수질, 토양, 대기가 오염되고, 기후변화에 의한 전염질병으로 식품의 제조, 유통, 소비과정에서 안전성의 위협이 증가되고 있다.
○ 우리나라는 기후변화가 식품안전에 새로운 위험요소로 등장하고 있어 상시 모니터링과 범부처적인 대응이 필요하고, 특히 농업부문이나 식품시장을 좀더 친환경적으로 변화시켜야 할 것이다. 아울러,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식품의 안전성 확보 방안과 식품공급 등에 있어서 국제적 협력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Lee-Ann Jaykus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9
- 권(호)
- 잡지명
-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repor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49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