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체활성 화합물의 적합한 설계

전문가 제언
○ 신약개발은 연구개발 기간이 통상적으로 15년 정도나 걸리고 개발비도 수십억에 달해 장기간 대규모 투자가 없으면 성공하기 힘들다. 화합물 라이브러리에서 신약후보물질을 일일이 합성해 탐색해내는 고전적인 방법은 퇴조하고 이제는 한 번에 수천~수만 개 이상의 물질을 검색해내는 고속처리검색(HTS) 체계로 변화되고 있다.

○ 새로운 약품 설계는 선도 구조 후보자의 신속한 동정을 위한 귀중한 개념으로 발생되었다. 특히, 분절 바탕 분자 조립 방법은 화합물 검색의 자동 설계를 위해 성공적으로 도입되었다.

○ 진화적인 알고리즘(Evolutionary algorithms)과 입자무리 최적화(particle swarm optimization)는 반복적 가상 합성과 시험을 위한 좋은 기술로 제공된다. 간단한 합성 공식의 산입으로 약품이 될 수 있는 화합물이 얻어질 수 있다. 진화 화합물 라이브러리는 특히 자원이 한정되고 많은 검색용 화합물 수집의 완비된 시험이 엄청나게 비싼 상황에서 결과를 적중시키고 선도하는 데에 적합하다.

○ 최근에 반응 모형화와 새로운 효소 억제제를 찾아서 설계하기 위한 가능성이 제안되었다. 주목할 만하게 약동학 특성이 계속 새로운 화합물의 다목적인 설계에 거의 고려되지 않았다. 그런 예측 도구의 정확도와 가용성의 증가로 후보 분자의 선도 유사성과 약품 유사성이 확실하게 향상될 것이다. 앞으로 적합하고 다목적인 새로운 설계가 새로운 약품의 주요 근원으로써 선도적 발견과 고속처리검색 보완에서 얻는 영향력이 점점 증가할 것이라는 점을 확신한다.

○ 끝으로 진화 알고리즘과 입자무리 최적화 기술의 도입과 개발로 비만과 관련된 질병, HIV 및 다른 주요한 성인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생체활성물질의 발굴과 부작용을 포함한 철저한 임상실험을 통하여 인류 건강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저자
Gisbert Schneider, Markus Hartenfeller, Michael Reutlinger, Yusuf Tanrikul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27(1)
잡지명
Trends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8~26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