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GRP78 발현과 종양 혈관신생

전문가 제언
○ 화학요법은 암을 치료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많은 항암제가 개발되어 임상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존의 항암제들이 주로 암세포를 타깃으로 하여 개발되었기에 선택성의 결여로 인한 신장, 심장, 골수 등에 심각한 부작용과 내성세포의 출현으로 항암제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연구가 최근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그중의 하나가 생물학적 요법의 하나인 혈관신생 저해를 통한 암의 치료이다.

○ 혈관신생의 특징은 수많은 세포성장인자나 염증성 질환을 매개하는 mediators나 cytokines과 같은 내인성 인자들에 의하여 억제되거나 반대로 활성화되는 양면성이 있어서 지금까지 주로 암이나 염증성 질환을 목표로 한 억제약물 개발에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심장질환이나 뇌졸중과 같은 심각한 질환에 대하여는 반대로 혈관신생을 적절히 촉진하는 약물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앞으로 새로운 혈관신생 촉진물질의 개발을 위해서도 집중적인 연구를 추진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노화된 흰쥐를 대상으로 STZ로 당뇨유발 후 12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이 당뇨쥐의 가자미근에서 GLUT-4와 GRP-78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한 결과 당뇨에서 운동이 GLUT-4발현을 증가시키고 GRP-78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된 당뇨 쥐에서 운동이 골격근의 혈당조절과 스트레스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소포체(ER) 스트레스응답은 외부의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한편으로는 다수의 암세포가 소포체내에서 GRP78의 유도를 활성화시켜 약제내성을 취득하고 있다는 사실이 최근 보고되었다. 이러한 스트레스 상태에서 정상세포를 포함한 신경세포들은 거의 증식을 하지 못하지만 암세포들이 강한 내성을 가지는 것은 바로 GRP78 의 과잉발현에 의한 것이다. 이와 같이 스트레스로부터 유도된 GRP78 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 생리활성물질은 화학적 치료가 곤란한 고형 암에 대해 유효한 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이 기대된다.
저자
UNIV SOUTHERN CALIFORNIA, LEE AMY S, HOFMAN FLORENCE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WO20090026496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2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