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호주 디지털경제의 미래방향

전문가 제언
○ 이 글은 “호주 디지털경제의 미래방향”을 주제로 하여 디지털경제의 본질과 구축 요건, 디지털경제의 성장, 지속가능한 디지털경제의 유지, 디지털인력의 개발,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주 디지털경제의 성공적인 미래방향은 호주 산업의 디지털사업 활동, 번영하는 정보통신기술산업, 분명한 정책방향에 달려 있음을 부각시키고 있다.

○ 특히, 이 글에서 번영하는 디지털경제를 전개하는 것은 호주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혁신을 추진하며, 사업과 산업을 연결/변형시키면서 상업, 통신 및 정책개발에서 글로벌 추세를 이용하는 가장 강력한 위치에 있게 한다는 점과 호주 정부는 호주가 튼튼한 디지털경제를 성장, 발전시키는 정책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 데 필요한 밀접하고, 구체적인 활동에 관계되는 산업/정부 파트너십을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된 점이 주목된다.

○ 전통적인 수요와 공급의 원칙이 온라인에서 디지털 모형으로 바뀌며 무한대의 비즈니스 법칙을 만들어낸다. 디지털경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경제활동으로서 e-비즈니스가 디지털경제의 대명사로 되고 있다. 디지털경제를 지배하는 키워드는 외형적인 팽창보다 그 속에서 일어나는 거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이다. 특히, 디지털경제 시대에는 S/W나 컨텐츠의 무단복제에 따른 피해를 줄이고, 막대한 개발비가 투자된 S/W나 컨텐츠의 발전과 수익은 그 지식재산권에만 의존하게 되어 지식재산권의 보호가 매우 중요하다.

○ 디지털경제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독창성(Creativity), 고객(Customer), 신용(Credit)의 3C가 필수적이다. 독창성과 창의성이 없는 기업은 생존할 수 없으며, 자기만의 특징을 개발하고, 계속 발전시켜 나가야만 성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경제에서는 산업체 간 제휴가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신용도 기업의 생존을 좌우하고, 상품 선택에서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소비자인 고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이 글에서 시사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디지털경제에 걸맞는 새로운 경제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저자
Australian Information Industry Associati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9
권(호)
잡지명
Australian Information Industry Association(report)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25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