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마트카드 보호

전문가 제언
○ 오늘날 스마트카드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본인의 신분증명 및 디지털 성명을 목적으로 신원증명 분야, 금융서비스 분야, 유료 TV, 교통 분야, 보건복지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현재 거의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최소한 2-3장 이상의 스마트카드를 지갑에 보유하고 있으며, 금융 분야의 경우 약 8,500만 장의 카드가 국내에 보급되었다.

○ 최근 국내에서는 스마트카드의 안전성이 사회적 관심사로 등장하고 있다. 2008년도 국회 국감자료에 따르면, 국내 금융카드 가운데 비자 및 마스터 카드를 제외한 약 4,500만 장의 금융카드가 부채널 공격에 의한 정보 누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가 발견된 금융카드 교체에 카드 1장당 6000~1만원씩, 전체 최소 수천억 원의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 부채널 공격은 IC칩에 내장된 암호 연산규칙이 작동할 때 발생하는 전기 소모량, 열 정보를 통해 암호를 찾아내어 스마트카드를 불법 복제하는 공격방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국감 자료에서, “금융 IC카드에 부채널 공격방지 기술이 내장되지 않으면 금융 거래의 위험을 노출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 부채널 공격에 대한 연구는 미국과 일본, 유럽 등에서 이미 10년 전부터 시작되고 있었지만, 국내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고 있어 다른 나라에 비해 늦은 편이다.

○ 이 발명에서는 장애 주입 공격 또는 버퍼 오버플로 공격 등의 부채널 공격에 대해 스마트카드를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적기 복호화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 자체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지만 효율성은 기존의 방식에 비해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 발명은 금융 보안, 전자여권 보안 기술 개발 차원에서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
저자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WO20090095838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3
분석자
고*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