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암제 전달을 위한 자기조립 폴리머 나노구조물질

전문가 제언
○ Maeda 등이 약물의 표적축적이 거대분자에 대한 EPR 효과를 통하여 가능하다고 발표한 이래, 거대분자에 의한 약물전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수행되었다. 그 중 분자량과 친수성과 소수성 블록의 기능성, 크기분포 등이 잘 조절된 공중합체들이 디자인이 가능해지면서 통제되고 효율적인 약물전달 시스템으로 자기조립 폴리머 미셀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 거대분자 약물전달 시스템의 문제는 종양 미소환경 내로 거대분자 침투가 제한적이므로 종양조직에서의 활성약물의 농도가 낮다는 점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종양조직 깊이 충분한 양의 활성약물을 전달하는 약물운반체의 개발에 특히 유의하고 있다. 폴리머 미셀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대단히 낮은 doxorubicin, paclitaxel 같은 항암약물의 용해도를 개선하는 운반체의 기능에 더하여 약물내성과 치료효과를 개선하는 이화학적 특성이 다른 약물의 공동전달, 치료와 진단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중모드 기능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 분자구조가 확립된 생분해성/생체적합성, 일정한 크기분포, 약물탑재 기능 등을 위한 합성기술에 더하여 폴리머 미셀의 기하학적 구조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면서 세포섭취와 세포 내 표적추적, 다중약물 탑재와 같은 분야에 대한 새로운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다. 또한 폴리머 미셀뿐 아니라 PLLA/PEG 공중합체 나노튜브도 개발되어 다양한 치료약물의 운반체로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후보물질로 평가되고 있다.

○ 폴리머 미셀의 코어를 약물수용을 위하여, 표면을 표적추적분자를 접합하기 위한 화학적 변환을, 그리고 ?/온도 감응 시스템 등의 이화학적 변환을 통한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한 폴리머와 조립체의 생체 내에서의 거동에 대한 심층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Nikken Wiradharma, Ying Zhang, Shrinivas Venkataraman, James L. Hedrick, Yi Yan Yan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4
잡지명
Nano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02~317
분석자
엄*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