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형 당뇨환자에 대한 지속형 용해인슐린제제와 2상성 인슐린제제의 비교
- 전문가 제언
-
○ 인간인슐린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서열을 바꿈으로서 유전공학적으로 새로운 인슐린을 만드는데 성공한 최초의 인슐린 아날로그는 미국 FDA에 의해 1996년에 승인되었다. 이 인슐린 아날로그는 베타쇄상에 두 가지 아미노산인 Lysine과 Proline이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이 인슐린아날로그의 이름을 Lispro라고 불렀다.
○ 속효형 인슐린 아날로그인 Aspart는 베타쇄상의 28번째 위치에 Proline 대신에 Aspartic acid가 치환되어 있다. Aspart는 한 가지 아미노산이 인간인슐린과 다르며 흡수가 더 빠르다. Glargine은 알파쇄상의 21번째 Asparagine이 Glycine으로 치환되고 베타쇄의 말단 카르복시기에 두 개의 Arginine이 첨가된 지속형 인슐린이다.
○ 인간인슐린은 주입 시에는 6량체(Hexamer)로 이루어져 있어 흡수되어 모세관 벽을 통과하려면 단량체나 2량체로 분리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를 해결한 것이 Aspart로서 분자간 회합성질이 감소하여 6량체가 인간인슐린보다 쉽게 분리된다.
○ 이상성 인슐린 Aspart(BIAsp; Biphasic Insulin Aspart) 30은 식후 인슐린요구에 쓰이는 속효형 용해인슐린 Aspart(30%)와 야간의 인슐린필요에 대한 지효형 NPH(Neutral Protamine Hagedorn)(70%)를 배합한 것으로 2형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치료 개시에서 사용하기 쉽고 다른 제제에 비해 식후 혈당과 HbA1c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그러나 인슐린주입에 응답하는 다클론 IgG 항체는 인슐린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인슐린 Aspart 역시 면역원성을 가지고 있으나 2형 당뇨병의 이에 대한 면역학적이며 악물동력학적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앞으로 인슐린의 항체작용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아울러 유전공학적인 방법에 의해 효능이 우수하며 면역학적으로 뛰어난 새로운 인슐린 아날로그의 개발이 요망된다.
- 저자
- Kobay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58(5)
- 잡지명
- 新藥と臨床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897~904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