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션 미디어와 로봇폰
- 전문가 제언
-
○ 글로벌 IT 업계의 최대 화두는 융합이다. 방송, 통신, 인터넷으로 나뉘어 있던 네트워크 칸막이가 사라지면서 각 영역을 대표하는 터줏대감들은 무한경쟁에 돌입하였다. 통신업체는 케이블 사업자와 경쟁하고, 방송사는 포털 등 인터넷 사업자와 격돌해야 하는 상황이다. 네트워크의 융합은 단말기 융합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컴퓨터, 휴대전화, TV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 오랫동안 로봇은 주로 작동하는 기계가 인간 대신에 움직인다고 생각해 왔다. 그들의 신체적 구체화의 특징을 고려하여 로봇은 인간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인정될 수도 있다. 현실세계와 정보세계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로봇을 사용한다는 개념은 로보틱 유저 인터페이스(RUI: Robotic User Interface)라고 불리게 되었다.
○ RobotPHONE 시스템은 형태를 공유한다고 불리고 있는 장치로서 로봇을 사용한다. 원격형을 공유하고 있는 장치의 형태와 운동을 늘 동기화한다. 가령 로봇에 대한 자세의 수정, 도는 운동의 입력이라는 활동을 실시간으로 먼 종료에 이르기까지 반영된다. 따라서 RobotPHONE의 사용자는 정보교환을 할 수가 있으며, 로봇의 형태와 운동을 교차시킴으로써 상호작용을 전개할 수가 있다.
○ RUI와 모션 미디어 사이의 관계를 고찰해 보면 RUI는 유저 인터페이스라는 관점에서 로봇을 인터페이스로서 이용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어휘이다. 한편 모션 미디어는 무엇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가라는 관점에서 정보전달 모드로서 로봇의 움직임을 이용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RUI와 모션 미디어는 정보세계와 현실세계 사이의 교량 역할을 하며, 로봇을 이용한다고 하는 사고방법을 각각 다른 시점에서 나타내고 있는 어휘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Tairoku Sekiguc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48(6)
- 잡지명
- 計測と制御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479~484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