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새로운 분리방법

전문가 제언
○ 고도 불포화지방산은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이중결합을 가진 지방산으로 이 이중결합의 구조에 따라 cis 혹은 trans 형태가 있다. 수소원자의 부족은 분자간의 힘을 약하게 하여 이들의 융점을 낮게 한다. 이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식물성 기름에서 보듯이 대부분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액체이다. 반면 소 및 돼지와 같은 동물성 기름은 포화지방산이 많아 고체이다.

○ 오메가-3은 이중결합이 메틸탄소로부터 3탄소가 떨어진 곳에 이중결합 (n-3)이 있고 오메가-6은 6탄소 떨어져 이중결합 (n-6)이 있다. 영양적으로 필수적인 n-3 불포화지방산은 α-리놀레산(ALA), 아이코사펜타노익 산(EPA) 및 도코사헥사노익산(DHA)이다. 오메가-3은 천연물로부터 주로 물고기와 해양 원생생물로부터 얻는다. 중요한 n-6 불포화지방산은 리놀레산(18:2)과 아라키돈산(20:4)이다. 이들은 주로 식물성 유지, 팜, 대두, 유채 및 해바라기 씨들에서 얻는다.

○ 역학 및 임상시험으로 오메가-3 지방산은 심장혈관 질병을 감소시킨다고 한다. 매일 EPA+DHA를 0.5에서 1.8g 그리고 α-리놀레산은 1.5에서 3g를 취하면 심장병 예방에 좋다고 한다. 또한 긴 사슬 오메가-3 지방산은 동맥경화증, 암 및 관절염에 좋다고 한다. 생리적으로 중요한 n-6 지방산인 아라키돈산은 프로스타글란딘과 타 생리적 활성분자들의 전구체이다. 오메가-6의 리놀레산으로 매일 4.44g 섭취가 좋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 이들은 필수지방산으로 우리 몸에 필요하기 때문에 이들을 분리, 정제하는 방법이 여러 특허에 명시되어 있다. 본 특허에서는 나노여과 기술로 생선으로부터의 고도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10%에서 77.8%로 증가시켰다고 한다. 또한 타 기술보다 소요시간과 사용용매를 적게 사용한다고 한다. 그러나 한 논문에 의하면 은 이온으로 포화시킨 XN1010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이용하여 정제하면 농축 생성오일의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82-99%(전체 PUFA는 95-99%)까지 높일 수 있었다는 보고가 있다.
저자
V.B.MEDICARE PTV. LTD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WO20090063500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0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