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전지에 적용이 가능한 용융금속 용사법
- 전문가 제언
-
○ 본 발명은 태양전지 장치와 관련되어 있는데, 특히 실리콘 태양전지 내에서 BSF(Back Surface Field)에 접촉할 수 있는 후면(backside) 금속을 형성시키는 제조기술이다. 저렴하고 효율이 높은 후면 전극형 실리콘 태양전지의 상용화(양산) 제조기술의 개발에 직접 응용할 수 있으므로 향후 활용가능성이 상당히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용융된 알루미늄을 용사(atomization and spray)하는 장치로서는 압력무화(pressure atomizer), 회전분무기(rotary atomizer), 이유체 분무기(twin fluid atomizer) 등이 있다. 여기에 저렴하고 효율이 높은 양산기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자유낙하(free fall) 형과 외부혼합 형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분무기는 용적의 크기와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유동성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관련 산업체에서 자체기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기술체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 BSF 효과는 태양전지 셀의 기판뒷면 전극부근에 설치된 불순물 농도가 높은 영역에 따라 내장전계가 형성되며 뒷면 근방에서 빛 생성캐리어가 효과적으로 수집되는 효과이다. 향후 BSF 효과를 이용하여 고효율의 실리콘 태양전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중 박막처리기술, 생산원가 절감, 대량생산에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 최근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에 관한 해외기술동향을 살펴보면, 실리콘 태양전지는 p-n 단일접합의 구조에서 17~18% 효율을 나타내고 그 위에 다른 물질의 전지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효율을 20%까지 올리고 있다. 향후 본 발명과 같은 제조기술을 응용하여 국내 자체기술로 태양전지의 효율을 더욱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APPLIED MATERIALS,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55232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7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