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이용의 결정요인과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개요
- 전문가 제언
-
○ 1970년대에 컴퓨터 간 정보를 전송하고 이용할 수 있는 통신 소프트웨어로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개발되었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중반에 국가전산망 사업을 추진하면서 국가 차원에서 전산화가 시작되었다. 인터넷이 일반에 널리 보급된 것은 1990년대 중반 미국의 벤처기업 넷-스케이프가 무료로 배포한 웹 브라우저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 1990년대 중반 가정용 PC가 대량 보급되면서부터 LAN 등 전산망 구축과 웹 환경이 조성되어 일반인들도 인터넷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인터넷은 사회의 기반 통신 수단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일반 전화 및 상거래를 비롯해 TV 수신, 음악 및 동영상의 공유, 쌍방향 통신까지도 가능한 단계에 와 있다.
○ 일본의 인터넷 이용자 수가 2009년 1월 현재 약 9,000만 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인터넷 이용률은 10대~30대에서는 95%를 넘어섰고, 50대가 80% 이상, 60대가 60% 이상이라고 발표되었다. 우리나라도 전 국민의 70% 이상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있으나 아직도 인터넷을 잘 모르거나 이용을 기피하는 층이 있어서 그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 본고의 조사에 의하면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거나 이용을 기피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새로운 전자기기에 대한 자신감이 결여된 결과라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소극적 심리를 가진 사람 역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쉽고 부담 없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대책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사람들의 인터넷 사용과 실생활에의 이용에 이르기까지 사용 내역에 대한 요인과 문제점을 다면적으로 분석하고, 이용 동향이나 이용자의 기대와 평가 등을 파악하는 것은 정보통신 사회에서의 문제점 발견과 그 해결을 위해 의미가 크다고 생각된다. 통신 네트워크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 이용자와 미이용자 사이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이용 촉진책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 저자
- Umino Atsu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27(5)
- 잡지명
- 情報通信ジャ―ナル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8~23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