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병의 후성유전학적 치료법: 최신 정보
- 전문가 제언
-
○ 백혈병은 순환계 내의 백혈구의 수가 증가하는 조혈조직의 악성 종양이며 일반적으로 골수성 백혈병과 림프성 백혈병으로 분류된다. 암 발생은 DNA 염기서열에서 유전적 변이로 일어나는 것으로 여겨 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후성유전학(epigenetics)은 DNA를 직접 변형하거나 DNA에 결합한 단백질 복합체를 변형하여, DNA의 염기서열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후성유전학적 변형이 암 특히, 백혈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 분명해지고 있다.
○ 후성유전학에서 DNA 변형과 크로마틴에 있는 히스톤의 변형이 가장 중요하다. DNA 변형은 CpG 디뉴크레오티드의 시토신(C)에서 메틸화가 일어난다. 유전자들 사이에 있는 CpG섬은 정상적으로 메틸화되고 이 메틸화로 인해 비-암호화 DNA의 전사가 억제된다. 그러나 촉진 유전자 가까이에 결합한 CpG섬은 메틸화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유전자 발현을 허용한다. 암 세포에서 촉진 유전자에 결합한 CpG섬은 과-메틸화될 수 있다. 그런데 이 촉진 유전자에 결합한 CpG섬의 비정상적인 저-메틸화는 유전자의 재-발현을 일으킬 수 있고, 따라서 큰 임상적 가치를 갖는다.
○ 현재 임상에 사용되는 저-메틸화 약품은 뉴클레오시드 유사체인 5-azacitidine 과 5-aza-2‘-deoxycytidine(decitabine)이다. 이 두 약품은 사용법이 수립되었고 MDS(골수이형성증후군)의 치료약으로 FDA의 승인을 받았다. 유전자발현을 조절하는 다른 후성학적 방법은 히스톤 H3과 H4의 메틸화와 탈메틸화이다. 메틸화는 유전자 전사를 유발하고 탈메틸화는 억제상태로 이어진다. Valproic acid(VPA) 이외에 5종류의 약품이 원문에 소개되었다. VPA는 악성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며 VPA의 이런 항-이상증식효과는 HDAC(histone deacetylase) 억제효과와 관련이 있다.
○ MDS와 AML(acute myeloid leukemia) 환자들에서 반응속도, 지속성, 그리고 생존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복합처방이 필요한데, 한 가지 방법은 저-메틸화제와 HDAC 억제제를 같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현재 여러 가지 복합약품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 저자
- Nitin Jai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41(1)
- 잡지명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2~80
- 분석자
- 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