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실글리세롤 단회섭취가 식사지질연소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 복부지방축적은 대사증후군의 발병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이상지질혈증은 금식과 식후의 TG-rich lipoproteins을 상승시키며 HDL(High Density Lipoprtein)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금식과 식후의 TG-rich Lipoproteins 수준의 상승은 대사증후군에서 관찰되는 전형적인 지질이상이다.
○ DAG는 식용유지 내에 존재한다. 최근의 연구에서 DAG는 이러한 금식과 식후의 고지혈증에 효과가 있으며 지나친 비만을 예방하는 데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본 논문에서도 DAG는 동시에 섭취한 다른 식사지질의 연소도 촉진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체지방축적의 억제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 DAG는 생화학적 신호전달에서 2차 신호전달지질로서 기능을 하며 세포막결합효소인 PLC(PhosphoLipase C)에 의한 PIP2(Phosphatidyl Inositol Biphosphate)의 가수분해물질이다. 또한 DGKs(DiacylGlycerol Kinases)는 이 DAG를 Phosphatidic acid로 인산화한다. 대부분의 DGK 동위체들은 뇌에서 높게 발현한다.
○ DAG는 성장인자나 기타 인자에 자극을 받는 세포에 일시적으로 축적되어 PKC(Protein Kinase C)와 결합하여 활성화함으로서 성장이나 분화와 같은 여러 가지 세포응답을 전달하는데, 이 세포가 지나친 양의 DAG를 갖게 될 경우 이 과정이 암세포에서는 부적절하게 활성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최근 지적되고 있다.
○ 또한 T세포 신호전달에 관한 연구에서는 DGKs가 T세포 수용체 신호전달을 억제함으로서 면역반응을 제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식사지질 DAG의 섭취에 대해서는 엄격한 투여량의 조절은 물론 여러 가지 Acyl기의 차이에 대한 기능성과 생화학적 경로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Shinichiru Saito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37(5)
- 잡지명
- 藥理と治療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23~431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