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효모 베타글루칸 섭취에 의한 쥐의 맹장내용물 및 분변배설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 β-Glucan은 유럽에서 사용되는 약제인 Zymosan의 연구와 함께 시작되었다. 1940년대에 Pillemer 등이 처음 발견한 Zymosan은 면역시스템을 증강하고 조절할 수 있었다. 그러나 Zymosan은 약제 내에 합성된 단백질, 지질, 다당체를 포함한 효모세포벽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어 여러 가지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 1960년대에 Diluzio가 Zymosan의 약성분 내에 면역활성물질을 발견하였는데 이것이 부작용이 없는 장쇄다당류인 β-1,3-(D)-Glucan이다. 1975년 Mansell 등에 의해 이 물질이 암 치료에 유리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1980년대에는 Czop에 의해 면역시스템 백혈구인 Macro- phage의 표면에서 β-Glucan에 대한 특정수용체 위치가 발견되었다.
○ 이 후 효모세포벽에서 추출된 β-1,6-glucan이 결합된 β-1,3-(D)-glucan이 유력한 비특이성 면역활성인자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수용성 섬유질은 콜레스테롤과 포도당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이들 β-Glucan 역시 어떤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아직 β-Glucan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으나 적합한 섭취량에 대해서는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또한 효모뿐만 아니라 보리, 귀리와 같은 곡물이나 버섯류에도 함유되어 있는 섬유질 주성분인 β-Glucan은 그 분지도에 따라 작용의 차이가 발견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비교연구는 물론 그 외에 다른 Herb에 대한 β-Glucan의 존재여부와 이들의 분지도의 차이에 대한 체계적인 탐색연구도 아울러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 저자
- Itsuko Fukud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87(4)
- 잡지명
- 生物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70~174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