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와 카드뮴 항상성에서 microRNA의 역할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도 근래 녹색 사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중금속 오염은 증가되는 환경 문제이다. 특히 동과 아연 같은 중금속은 광범위한 생리 과정을 위해서 요구되나 필요 이상으로 많아지면 독성을 유발한다.
○ 근래 miRNA가 식물성 금속 스트레스의 완화에 주요 규제체로 기능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따라서 중금속 스트레스 매개에 관여하는 miRNA와 이들의 표적을 분석하면 식물 스트레스 반응 기작을 이해하는 데 있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줄 가능성이 있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농작물 및 인체에의 피해를 miRNA 연구를 통하여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근래에 연구되는 miRNA는 상이한 비생물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일종의 유전자 표현 규제체로서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miRNA395 및 miRNA399는 인산 및 황산 결핍으로 유도되었다. 염분 등의 스트레스에 따라서 많은 miRNA가 유도되었다. 앞으로의 연구에 따라 중금속 과다에 관여하는 miRNA가 더 많이 보고될 것으로 생각된다.
○ miRNA는 Cu와 Cd 등의 항상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부 연구된 식물에서 많은 종류의 miRNA가 규명되고 있으며 이들을 잘 이용하는 경우 중금속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쌀과 같은 상용하는 식물의 경우, 중금속이 미량으로라도 축적되어 인체에 들어오는 경우 그 피해는 대단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 따라서 국내에서도 중금속 조절에 관여하는 miRNA에 관한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주식으로 하는 식품에서 농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대단히 크다.
○ miRNA에 관한 연구가 추진됨에 따라서 많은 Cu, Cd 이외 다수 중금속 농축에서의 역할이 규명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는 가장 중요한 보건 문제의 해결뿐만이 아니라 이용에 따라서는 많은 경제적 이점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는 miRNA가 중금속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적극 지원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Yan-Fei Ding,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386(1)
- 잡지명
-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10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