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RNA 간섭: 최근에 부각되는 새로운 진단 및 치료 수단

전문가 제언
○ 1950년대에 동물세포에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증식이 일어나는 경우, 항체에 의한 저지 현상보다 먼저 바이러스 저지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을 가정하여 간섭(interfere)을 보이는 물질, 즉 interferon의 존재를 발견하게 되었다. 바이러스 증식 저지는 바이러스의 증식 시에 나타나는 이 미지의 물질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이 시기에는 그 작용 기작이 규명되지 않았다.

○ 최근에 다시 식물 및 C. elegans에서 이 기작을 발견하고 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RNA 간섭 현상은 난치병의 질환과 치료 등에 이용 가능성이 있어 근래 그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본 리뷰에서는 RNAi에 의한 유전자 침묵 등 그 작용 기전과 진단 및 치료 기구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 특이 유전자가 질병의 원인에 관여하거나 질병 진행 중에 상승 조절을 한다. 이러한 유전자를 발견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다. siRNA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특이 유전자를 발견할 수 있다.

○ RNAi는 바이러스의 증식 저지, 유전자 기능 장애에 의한 난치병 질병의 치료 등에 이용이 가능하다. 대부분은 임상 III단계에 있는 것도 있으나 상당수는 아직 임상 II단계에 있다.

○ 그러나 역사적으로 볼 때, 인터페론이 처음에 부각되었을 때에 바이러스 질병과 암의 치료에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많은 한계점을 가져다 준 바 있다. 독성 문제, 생산량의 문제, 작용의 한계성 등의 문제가 그 사용에 제한을 주고 있다. 따라서 RNAi의 치료 목적을 위한 개발에도 많은 난제를 갖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RNAi의 개발은 초기 단계로서 아직 연구되어야 할 과제가 많다.

○ 이러한 여러 가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최근 부각되는 RNAi 기술의 이용 분야는 광범위하고 가능성이 높다. 효과적 연구 지원이 있는 경우 경쟁이 가능한 분야로 판단된다. 특히 많은 임상 연구자들이 참여할 때 그 속도는 배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K. Shrey,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386(2)
잡지명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73~277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