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의 비스페놀 A 분석법

전문가 제언
○ 비스페놀 A(BPA: Bisphenol A)는 지구상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화합물의 하나이며, 폴리카보네이트와 에폭시 수지 등의 생산에 쓰인다. 2006년 생산량이 390만 톤이며 2010년에는 5백만 톤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런 수지는 젖병, 식기, 전자레인지용 그릇, 물과 우유병, 선글라스와 CD(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식품과 음료수 깡통의 내부 보호막, 유리병의 금속 뚜껑 코팅과 수도관 내부 코팅(에폭시 수지) 등 아주 다양하게 쓰인다.

○ 플라스틱 제조업자들은 BPA가 무해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미국 화학협회, 식품의약청 등에서도 현재 사용되고 있는 BPA의 함량은 인체에 심각한 해를 끼치지 않아 제품에 쓸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BPA는 인체에 축적되며, 적은 양이라도 여성 호르몬의 일종인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작용을 하여 정자 수의 감소나 여성화 같은 건강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 식품의 BPA는 인간이 노출되는 일차적인 경로이다. EU와 미 식품의약청에서 정한 허용 섭취량은 몸무게 ㎏당 하루 0.05㎎이다. 그러나 새로운 시험 결과에 따라 이 값이 새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조성이 복잡한 각종 식품에서 BPA를 완전하게 추출하여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각종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식품의 BPA 추출법으로는 용매 추출과 액체-액체 추출, 마이크로파 보조 추출, 가압 액체 추출법 등의 용매 기반 추출 및 선택성과 비선택성 흡착제, 면역 흡착제, 분자 각인 중합체를 쓰는 고상 추출법 등이 있다. BPA 검출법으로는 형광 검출법, 전기화학 검출법 또는 질량 분석법과 결합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GC-MS 및 면역화학법 등이 있다.

○ 앞으로도 BPA 분석에는 LC와 형광 검출법과 MS법이 주로 쓰이겠지만, 시료 처리에 노력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걸려 더 믿을만하고 널리 적용할 수 있으며 추출 효율을 높이고 단순화하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겠다. 그리고 자동화하여 BPA를 시료에서 빨리 분리할 수 있고, 일관되며 견고한 기기와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Ana Ballesteros-Gomez, Soledad Rubio, Dolores Perez-Bendi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1216
잡지명
Journal of Chromatography A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49~469
분석자
김*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