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연료의 개선을 위한 바이오 연료의 정제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에탄올과 바이오디젤과 같은 액체 바이오연료는 석유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미래의 중요한 에너지원이며, 바이오 재생자원은 연료의 소비와 대기오염을 최소화하면서 높은 부가가치의 화학물질과 연료로 변환될 수 있다. 바이오 재생자원은 열화학적 생화학적 변환과정에 의해 주로 바이오오일,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그리고 디젤과 유사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 바이오연료(Biofuel)는 화석연료와는 다른 신재생 에너지로 바이오연료는 살아 있는 유기체뿐 아니라 동물의 배설물 등 대사활동에 의한 부산물을 모두 포함한 바이오매스(Biomass)로부터 얻을 수 있다. 바이오연료는 콩과 옥수수, 아마씨나 평지씨 그리고 가정이나 산업체의 유기물 쓰레기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 바이오연료는 2005년 현재 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15%에 불과하지만 대부분 산업화 이전 단계의 국가에서 난방과 취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선진국들은 대부분 화석연료를 주 에너지원으로 하고 있으며 기술개발을 통해 바이오연료의 사용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북유럽의 스웨덴과 핀란드는 이러한 노력으로 전체 에너지의 약 18%를 바이오연료를 통해 얻고 있다.
○ 지속되는 고유가 상황 속에서 국내 유류 소비량의 상당부분을 바이오연료에 의해 국내에서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은 국가 경제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의미를 부여한다. 교토의정서에서도 바이오연료는 온실가스의 배출규제에서 제외된다는 관점에서도 바이오연료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연료 생산기술의 개발로 국내에서 대체 연료생산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저자
- M. Fatih Demirba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9
- 권(호)
- 86
- 잡지명
- Applied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51~161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