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식용유로부터 생산되는 바이오 디젤의 분석과 생산의 기술적인 측면

전문가 제언

○ 석유자원의 고갈 위기가 고조됨에 따라 최근 대체연료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급격한 유가의 상승과 온실가스 배출을 규제하는 교토협약의 발효 등으로 이미 선진국에서는 수송용 바이오연료의 보급이 확대되어 왔다. 바이오연료에는 메탄올,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바이오가스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바이오에탄올과 바이오디젤이 대표적인 수송용 연료로 상업화되고 있다.

○ 바이오디젤은 주로 식물성 오일로부터 제조할 수 있는 디젤엔진의 대체연료로서 석유소비의 대체가 가능할 뿐 아니라 탄화수소, 황 등의 오염물질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 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운행되는 경유 차량에 직접 사용이 가능하고 연료보급을 위한 인프라시설의 추가 설치가 필요 없어 가장 유망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 우리나라도 경유에 의한 대기환경 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경유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청정대체연료의 확보 필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폐식용유를 바이오디젤 생산원료로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기에 이르렀다. 국내에서는 매년 20여만 톤의 폐식용유가 배출되고 있으며 일부는 사료 또는 화학원료로 재활용되고 있지만 상당부분은 마땅한 수요처가 없어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가 높다.

○ 폐식용유의 재활용 기술이 개발된다면 바이오디젤 생산원료의 수입대체 효과와 함께 폐식용유를 원료로 하는데 따른 원료비 절감, 생산된 바이오디젤의 가격경쟁력 강화에 의한 보급 활성화, 폐식용유의 연료 재활용, 무단폐기 방지에 의한 환경오염방지 등 많은 이점이 있다. 교토의정서에서도 바이오연료는 온실가스의 배출규제에서 제외된다는 관점에서도 바이오연료 생산기술의 개발로 국내에서 폐기물을 이용한 대체연료 생산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저자
C.C. Enweremadu, M.M. Mbara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20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