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엔지니어링에 의한 신제품 개발
- 전문가 제언
-
○ 신차의 개발 프로세스는 나라마다 회사마다 개발 형태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의 단계를 밟아서 상품성 있는 양산에 이르게 된다.
① 기획 단계 : 제품개념의 개발과 개발 모델을 확정
② 선행 단계 : 제품개발 전의 선행개발(Advanced Engineering) 실시
③ 디자인 단계 : 클레이 모델을 만들고 디자인을 마무리함
④ 설계 단계 : 설계, 해석, 제도의 CAE/CAD/CAM가 이루어짐
⑤ 시작 단계 : 신차의 제반 성능을 양산에 준하는 품질로 시험 제작
⑥ 시험 단계 : 선행시험, 시작차, Pilot Car, 양산차 시험이 있다
⑦ 생산 준비 단계 : 선행양산을 3~5단계 실시하여 종합 품질의 확인
⑧ 양산 단계 : 선행양산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양산 1호차(Job #1)가 생산 개시되면서 모든 개발 과정이 종료된다.
○ 상기한 8단계의 개발 과정이 디지털 엔지니어링(Digital Engineering) 기술 및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의 활용으로 3~4단계로 점차 축소되어 가고 있다. 동시공학은 제품 설계 단계에서 제조 및 사후 지원 업무까지도 함께 통합적으로 감안하여 설계를 하는 시스템적 접근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제품 개발 담당자로 하여금 개발 초기부터, 개념 설계 단계에서 해당 제품의 폐기에 이르기까지의 전체 라이프사이클 상의 모든 것(품질, 원가, 일정, 고객 요구사항 등)을 감안하여 개발하도록 한다. 이것은 초기의 문제 발견과 초기의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해준다.
○ 리버스 엔지니어링(Reverse Engineering)은 역공학 또는 분해공학이라고도 하며, 제품 조립 순서와 반대로 제품을 하나하나 분해하여 제품의 제조 과정 및 성능을 파악하는 기술이다. 소프트웨어 공학적으로 보면, 좁은 의미의 역공학 개념은 실물형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실질적인 역공학 개념은 신제품 개발에 관한 전반적인 작업공정에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물형상 인식 및 처리기술이다. 현재는 CAT/CAE/CAD의 발전에 힘입어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술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저자
- Atsuhiro Watanab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63(6)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46~51
- 분석자
- 심*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