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 자동차 업계의 EDI 표준화 과정

전문가 제언
○ EDI(Electronics Data Interchange)는 전자문서교환을 말하며, 기업 간의 거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 포맷이다. 미국의 데이터 교환 표준협회에 의해 처음 개발된 EDI 표준은 ANSI X12에 정의되어 있으며, 세계표준인 EDIFACT에 통합되어 가고 있다. EDI 메시지에는 데이터 요소들의 문자열이 포함되는데, 그 각각은 가격이나 제품 모델 번호 등과 같이 개별적 사실들을 표현하며, 구획문자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 여기서 전체의 문자열을 Data Segment라고 부르고 Header와 Trailer에 의해 틀이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Data Segment들은 EDI 전송 단위인 Transaction-set를 이룬다. 하나의 Transaction-set는 흔히 전형적인 한 장의 무역서류나 양식 내에 포함되는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EDI 전송에 관련된 쌍방을 흔히 Trading-partner라고 부른다. EDI 메시지들은 암호화되거나 해독될 수 있다. EDI는 e-mail, 팩스와 함께 전자상거래(EC: Electronic Commerce)의 한 형태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1999년 11월 최초로 자동차분야에 대한 부품 조달 체계도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당시 산업자원부 주관으로KNX(Korea Network Exchange) 사업, EDI 사업, 부품정보 표준화 사업에 착수한 후 현재는 EDI, 부품정보 표준화가 완료되어 자동차 KNX사업이 안정화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 자동차 B2B사업은 현대기아차를 비롯한 970개사의 부품업체가 가입하여 회선설비가 완료된 670개 업체가 활용함으로써 납입지시서, 출하정보, 설계변경지시서 등 매일 약 220만 건의 데이터가 교환되고 있다.

○ 정부는 자동차 EDI 사업을 물류부문까지 확대하고, 또한 2,000여 개 자동차부품업체를 KNX 가입 유도와 자동차 부문의 성공적이고 안정화된 운영을 바탕으로 자동차 외의 타 업종으로의 확대에도 노력하고 있다. 이와 병행하여 미국(ANX), 유럽(ENX), 일본(JNX) 등 해외 네트워크와도 연계망을 구축하여 세계 일류기업과의 경쟁을 위한 글로벌 경영 환경에 대비하고, e-transformation을 통한 디지털 경제시대의 산업 경쟁력 제고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저자
Yoshikazu Shioza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9
권(호)
63(6)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25~29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