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몬드 단결정 박막을 사용한 극자외선 센서의 개발
- 전문가 제언
-
○ 살균, 정수, 각종 의료분야와 공해물질의 고속분해처리 및 반도체산업의 리소그래피 공정에 사용될 극자외선 광센서의 개발은 중요하다. 한편 소형, 고출력 극적외선 램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소자의 발열문제를 먼저 해결하여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100)다이아몬드 기판 상에 메탄과 수소를 사용한 마이크로파 플라스마 기상 성장법으로 B이 첨가된 p형 다이아몬드 단결정 박막을 성장시켜 DUV광 수광부로 사용하였다. Ti/WC 2층 음성 전극을 형성한 후, 그 위에 WC, HfN 쇼트키성 반투명 전극을 형성하여 쇼트키 다이오드(SD)형 DUV광 광센서를 제조하여 광특성을 조사하였다.
○ SD형 광센서의 773K 열처리 전후의 정류비 및 쇼트키 장애높이를 구한 결과, 열적으로 안정한 쇼트키 다이오드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고 이 센서에 극자외선을 조사할 때 역방향 포화 광전류의 열처리 전후의 수광 감도를 비교하면 열처리로 수광 감도가 약 3자리 수 증가하여 이 SD형 광센서는 이득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 SD형 광센서의 광 응답특성 및 응답시간 특성을 보면, 가시광 블라인드 비 106을 유지하면서 응답시간 0.3초 이하인 고속 응답성이 얻어졌고 다이아몬드 박막중의 B농도가 감소하면 응답속도가 향상되었다.
○ 최근에는 극자외선 센서에 220nm의 극자외선을 조사하여 107배나 되는 광유기 전류가 흘러 거대광 전도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거대광 전도효과를 이용하면 미약 극자외선을 저전압으로 검지하는 초고감도 극자외선 센서가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Yasuo Koid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44(3)
- 잡지명
- セラミック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61~166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