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의 3차원 데이터 활용 현황
- 전문가 제언
-
○ 최근 IT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기업환경이 디지털 및 웹 기반의 환경으로 급속히 변환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차량 개발 및 설계에서 세계동시개발이라는 획기적인 시스템을 형성해가고 있다. 더 나아가서 개발 및 설계의 후속 공정인 생산, 영업 및 서비스 분야에까지 3차원 디지털 기술이 접목되면서 전 과정에 걸친 업무 효율성의 극대화는 물론 고객만족 및 품질보증 체계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는 3D CAD 데이터를 활용한 개발설계능력이나 생산기술능력을 사내뿐만 아니라 협력업체에도 이전시켜 경쟁력 있는 자동차 생산에 공동 참여시켜 책임을 나누고 있다. 자동차는 2만 개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된 복잡한 제품으로 제품의 통합성(integrality)이 높게 요구되어 부품업체와의 협조(coordination)관계가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 이의 일환으로 업체간 3D CAD의 통합이 높아지고 있다.
○ 자동차라고 하는 제품은 부품 간의 조립에서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기 때문에 부품설계 시에 이들 간의 상호조정이 그리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새로운 자동차 개발을 할 때 큰 문제 중의 하나인 부품 간의 간섭(parts interference) 문제로 설계 변경하는 경우가 전체의 약 70%를 차지한다고 한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동차 산업에서는 3차원 CAD를 중심으로 한 IT기술을 기반으로 Web site를 활용함으로써 개발현장에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는 QCD의 선행실시(Front Loading)와 동시에 공학(Concurrent Engineering)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 첨단설계기술인 3차원 CAD의 도입으로 설계 품질을 확보하고 뒷공정인 생산, 영업, 서비스 분야에서도 3차원 데이터의 활용으로 업무의 효율성 및 품질확보의 기반은 갖출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들 첨단 도구를 유효적절하게 운용하고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것은 이를 운영하는 설계기술자를 포함한 경영 스태프들이다. 이들이 개선된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3차원 디지털 기술의 발전을 위하여 노력이 있을 때 제대로 된 위력을 발휘하고 발전하여 나갈 것이다.
- 저자
- Mitsuru Kubota, Noriyasu Naruse, Yasuo Mishi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63(6)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34~39
- 분석자
- 심*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