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감도 고속 분자이미징 기술의 전망

전문가 제언
○ 지난 10여 년간 다양한 분야에서 나노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분자관측 분야에서 초고해상도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프로브형 이미징, 방사성 핵종 이미징, 각종 형광물질 및 비선형 광학적 이미징 등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 광학적 관측 및 방사선 계측에 의한 분자관측과 프로브에 의한 고해상도 분자관측은 서로 다른 시각에서 수행되는 분자관측 방법이지만 앞으로 많은 성과를 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 광 검출기에서는 외부 광전효과를 이용한 광전자 증배관뿐만 아니라 내부 광전효과를 이용한 반도체 광 검출소자의 고감도화를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의학, 물리학 분야에서 광범위한 연구 활동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최근에 개발된 압전감응 힘 현미경(PFM : Piezoresponse Force Micro- scopy)은 분자 이미징 연구를 위한 것이며, 특정한 형태의 물질에서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 한편 나노 수준의 캔틸레버(cantilever)를 이용하여 원자 수준에서 고체물질을 영상화하는 원자 힘 현미경(AFM : Automic Force Microscopy)도 분자 이미징 기술에 이용되고 있다. 즉, 캔틸레버 팁이 담긴 AFM을 이용하여 압전성 물질을 움직이고 AFM 팀에 의해 움직임을 기록한다. 이에 따라 2nm인 영상 해상도를 실현하고 있다.

○ 또한 많은 생체물질이 나타내는 고유의 압전 감응성질은 생리조건에서 생물 구조의 이미징과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최근에 나노기술의 활발한 연구개발에 따라 분자 이미징 기술의 연구개발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Yoshihiro TAKIGUC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47(1)
잡지명
光技術コンダクタ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8~46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