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의식장해에서 의식?각성?수면의 의의를 생각한다

전문가 제언
○ 대뇌의 작용에 의하여 의식이 형성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기(氣)가 멀어지고, 기를 잃는 등으로 표현하는 의식장해는 대뇌의 장해의 표시이나 그의 원인은 여러 가지이다. 의식장해가 되는 것은 의식형성이 되는 것과 밀접히 관계하고 있고 의식장해 환자의 관찰에서 흔히 「의식」의 의미가 명확하게 된다. 의식장해와의 유사성에서 정상으로 영위하는 수면작용도 서서히 명확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의식이나 수면에 관한 뇌기구의 해명은 아직 미흡하며 향후의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 의식장해는 의식의 자리인 대뇌의 기능이 저하하여 정상의 활동을 행하지 않은 병태이다. 의식장해는 그의 원인에 의하여 일과성으로 일어나 회복하는 것과 장해가 천연(遷延)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 일과성으로 일어나는 것을 특히 실신(失神)이라 부른다. 보통 진료현장에서 의식장해라는 경우는 의식장해가 천연한 상태이고 실신이란 구별되어 취급하고 있으며 그의 발증의 작용기서는 공통이고 시간적 경과의 차이가 구별하는 점이다

○ 의식장해의 주된 원인질환에 있어서, 대뇌기능저하의 원인으로서 크게 분류하면 뇌 순환에 의한 장해, 뇌압항진 등의 물리적인 압박, 신경세포자체의 기능장해, 대사장해?중독 등의 4개를 들 수 있으며 각각의 원인이 되는 질환을 열거하였다.

○ 외관적으로는 의식장해와 수면은 같은 상태로 보인다. 그러나 수면은 자연으로 각성에 향하는 자연적인 것이다. 의식장해는 뇌의 장해에 의하여 일으킨 이상 수면상태이며, 원인을 제거하지 않으면 각성하지 않는 수면이다. 정상의 수면은 매일, 주기적으로 일어나며 일정의 시간 계속한 후, 자연히 각성한다. 그의 수면의 리듬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서커디안리듬(槪日 리듬) 에 의하여 지배하고 있으며 특히 송과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며 멜라토닌(melatonin)에 강한 영향을 받고 있다.
저자
Douraiy 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60(7)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778~2785
분석자
김*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