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MRSA약

전문가 제언
○ 항균약의 선택을 포함하여 항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약 투여의 개시단계에서 약사는 관여하여야 하며 초기 투여설계, 혈중농도 측정을 적극적으로 행하고 유효농도로 조절하여야 한다. 감염증에서는 증상이 크게 변하므로 주의 깊게 모니터링 하는 것이 중요하다.

○ 고차구명 치료센터의 약사의 개입사례는 감염증은 극적인 증상으로 변하므로 약사가 상주함으로서 신속히 대응되는 의의는 대단히 크며, 그 밖의 의료종사자로 붙어 신뢰도 크다. 약사 간에도 센터 상주약제사와 ICT(Infection Control Team) 약사, TDM(Therapeutic Drug Monitoring) 담당약사의 밀접한 연대가 항균 화학요법으로 신속히 관여하게 하고 있다.

○ 고차구명 치료센터에서는 취급 결과, 항 MRSA 약의 투여가 결정된 경우에는 약제의 선택, 그의 투여량, 투여간격, 혈중농도의 채혈 날의 지시 등이며 대부분은 약사의 관여에 의하여 결정된다. 약사는 약학적인 시점에서 나날이 그의 상태를 파악하고 의사, 간호사와 긴밀히 연대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 중증감염에서의 항균약을 개시하는 시점에서 의사와 약사가 협의하여 항균약의 선택에도 관여한다. 또 초기투여설계와 TDM에 의하여, 조기에 Vancomycin을 유효 혈중농도로 조절한다. 약제의 장기이행성을 고려하여 약제의 증량을 제언하고, 그 후는 정기적으로 TDM과 혈액 검사치, 요량의 모니터링을 행한다.

○ 신기능 저하 시의 항균약의 선택?투여량의 결정과 투석 시의 중요 점 그 후의 경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증례의 포인트는 신기능은 저하하였으나 loading dose의 개념은 조기에 항균약을 유효 혈중농도로 상승하였다. 본 증례는 투석시행의 유무에 의하여 약제투여량의 변경을 제언한 사례이다. 투석시행 시, 신기능 저하 시의 약제투여량의 조절은 약제사가 크게 관여된다.
저자
DANU O., ITO 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60(6)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559~2564
분석자
김*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