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P 성능측정의 현황과 전망
- 전문가 제언
-
○ GHP(gas engine driven heat pump air conditioners)는 기존시설이 수전용량이 부족할 경우, 적게 소요되는 소비전력으로 냉난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이하고, 겨울철 제상운전(defrosting operation)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난방에 전혀 문제가 없어 한랭지에 적합한 장비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GHP는 여름철 냉방부하 증가에 따른 전력부담을 대신하기 위해 가스를 사용하는 히트펌프로 개발되어 약 10년 동안 5만 세트 이상이 보급되어 있는 상태이다.
○ 근래 쾌적한 생활에 대한 소비자 요구 증가에 따라 냉난방이 가능한 히트펌프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냉난방기와는 구조가 다른 가스엔진으로 구동하는 GHP의 특성에 따라 취급과 유지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 한국냉동공조협회는 2008년 7월 단체표준심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가스엔진 구동형 히트펌프(gas engine driven heat pump)의 보수?점검기준’에 대한 단체표준을 제정하여 현재 한국 표준협회에 단체표준 게재를 신청하였다.
○ 우리나라의 S사가 2003년에 출시한 GHP의 경우, 우리나라의 환절기를 고려해 생산되어 외부 온도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냉·난방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으로, 압축기 구동 시에 천연가스(LNG)를 열원으로 하는 가스 엔진을 동력으로 삼아 냉매를 순환시켜 냉·난방을 해 친환경적이고 전기 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저자
- Hiroshi Tan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84(976)
- 잡지명
- 冷凍空調設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7~22
- 분석자
- 임*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