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카메라의 고화질화 기술
- 전문가 제언
-
○ 1990년대 후반부터 많은 업체들이 디지털 카메라의 연구개발 및 제조분야에 참여함에 따라 일본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를 '디지털 3종류의 신적 기기(神的機器)‘라고 할 만큼 급속도로 보급되었다. 디지털 카메라의 세계 시장규모는 2008년 현재 1억 2,000만 대를 출하한 실적을 올렸다.
○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전반까지 고화질화와 촬상소자의 다화소화는 동의어로 평가될 만큼 취급되었다. 디지털 카메라 디바이스 제조업체에서는 모두 화소의 미세화를 추진하고, 세트 업체에서는 최신 촬상소자를 탑재한 고화질 상품을 시장에 출시하였다.
○ 디지털 카메라의 손떨림 보정방법으로는 광학식 보정법과 전자식 보정법이 있다. 특히 전자식 보정법은 광학식 보정법으로는 보정하기 어려운 회전방향의 손떨림 현상도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 최근에 사용하고 있는 카메라에서는 촬영할 때 카메라, 피사체 등이 움직이기 때문에 화상의 떨림(motion)에 대한 보정기능을 갖고 있다. 동화상의 경우 프레임 간의 떨림(위치 떨림)의 문제, 정지화상의 경우 프레임 내의 떨림(동작 떨림)의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 떨림 현상의 보정방법에서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 렌즈 축을 피사체상과 촬상면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시프트 시키거나 촬상소자 자체를 시프트 시킴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 디지털 카메라의 액정 모니터 크기는 카메라의 즐거움과 연결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지난 수년간 소형화 및 가격을 최우선으로 평가함에 따라 1.5인치급 소형 액정을 탑재한 카메라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최근에 액정 모니터의 중요성이 재인식되어 액정 모니터가 대형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 디지털 카메라의 시장이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Toru NISHIMU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63(6)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725~730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