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박형 디스플레이의 특성 및 화질평가 기술

전문가 제언
○ 디스플레이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진입과정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며, 얇고 가벼운 장치로 발전하여 새로운 생활양식을 창출할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응용분야는 핸드폰, 텔레비전, 노트북 PC 이외에도 자동차, 항공기, 조선, 의료 등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 디스플레이 산업은 국가 기간산업으로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세계 시장규모는 패널, 장비, 소재 등의 규모가 2007년 1,532억 달러에서 2017년에 3,6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07년까지 노트북 PC, 핸드폰 등이 디스플레이의 성장을 주도하였으나, 2008년부터 대형 고화질 텔레비전이 디스플레이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능동형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한 새로운 응용제품이 등장하여 시장규모를 좌우할 것으로 전망된다.

○ 우리나라는 패널 생산기술, 가격, 품질 측면에서 세계적 우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그러나 진입장벽이 낮은 소재 및 장비 위주의 개발에 따라 부가가치가 높은 핵심 분야의 국산화 비율이 저조하여 아직도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 이와 같은 상황에서 2008년 5월에 지식경제부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2017년, 디스플레이 최강국 Korea'를 목표로 하고, (1)미래시장 선점, (2)장비 및 소재 기술경쟁력 제고, (3)기업간 상생협력 확대, (4)지속적 성장을 위한 인프라 조성, (5)국제협력 및 마케팅 활동 강화 등을 추진한다.

○ 우리나라 정보통신 3총사로 평가받고 있는 핸드폰, 반도체, 디스플레이 중에서 디스플레이는 정보통신 전체의 성장을 견인하는 데 상당한 부분을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D디스플레이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55.4%로 성장하였다.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기대한다.
저자
Toshihiro YAMA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9
권(호)
63(6)
잡지명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752~757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