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방송사업자의 IPTV 서비스 동향

전문가 제언
○ 최근에 통신망의 광대역화, 영상압축 기술의 발전, CPU의 기능 향상 등에 따라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상에서 동영상 등을 배송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전 세계적으로 IPTV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3월에 방송통신위원회가 발족되어 디지털융합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방송통신융합 서비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방송통신 정책 및 규제기능이 일원화되었다.

○ KT는 2008년 11월부터 IPTV 상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뒤를 이어 SK브로드밴드, LG데이콤 등이 IPTV 상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중심으로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방송통신 융합기술 연구개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IPTV를 포함한 IPTV2.0을 개발하고 있으며 IPTV2.0은 2012년에 상용화될 전망이다.

○ 국제적 개방형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관련 기술의 효율적 연구개발, 국내 관련기술 및 서비스의 국제 경쟁력 강화, IPTV 서비스의 보다 강도 높은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

○ IPTV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콘텐츠의 제작 및 확보, 단말기 접속장비의 표준화, 영상처리 및 전송기술의 고도화 및 표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현실적으로 비교적 쉬운 방안으로 IPTV 콘텐츠 확보, 이용자 확보, 인프라 보급 확대 등이 기대되는 CUG(Closed User Group) 서비스와 같은 현실적 접근방법을 검토할 수 있다.

○ CUG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의료, 교통, 금융, 물류, 유통 등 각종 기관에서 직접 IPTV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IPTV 사업자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관련 단체, 기업체, 개인 등에게 단말기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각 분야에서 필요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용함으로써 IPTV 서비스 활성화를 조기에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Kiyohiko ISHIKA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63(5)
잡지명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609~613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