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분할가치: 잔여이익 이론에 대한 주요 고찰

전문가 제언
○ 본 연구는 초과이익으로 정의되는 잔여이익(residual income)에 대한 개념을 다루고 있다. 이 개념은 19세기부터 시작하여 오늘날 우리 사회에 널리 퍼져서 깊이 있는 이론이 나오고 있다. 본 연구는 자본예산 결심, 생산 및 판매결심, 최적 포트폴리오 이행, 자산가치의 예측과 고유가치 계산 등에 관련해 최근 발표한 주요 내용을 개관하고 있다.

○ 가장 최근 이론 중에서 시스템 부가가치 접근방법은 잔여이익에 관해 손실자본 패러다임 하에 다른 정의를 내리고 있으나 아비트리지(arbitrage) 이론과 일치한다. 케인즈의 사용자가치 개념과 Pressaco 및 Stucchi에 의한 앞선 연구를 기초로 하는 이론에 의면, 자산은 철저히 조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준이론과 관계가 있다.

○ 두 다른 손실자본 측정이 고려되었는데 관리목적과 평가를 위한 개념을 적용하였다. 잔여이익에 대한 최신 이론은 시스템 부가가치로 분류되었으나 뒤에 손실자본 패러다임으로 다시 부르게 되었다. 이 패러다임에서 표준잔여이익 이론과 아비트리지 이론과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 패러다임과 손실자본 패러다임을 기초로 약간의 모델이 구성되었다.

○ 잔여이익에 대한 표준개념은 투자결심, 생산, 판매, 최적 포트폴리오 전략 이행, 장기정책에 근접하는 단기정책, 모회사와 자회사 간에 마찰, 자산가치 예측과 고유가치의 평가 등에 적용되고 있다. 여기에 단일 이론이나 측정으로 좋은 결과를 낼 수가 없다. 따라서 여러 이론과 관련 측정을 사용하여 다수기준 접근방법을 합쳐서 특정 결심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평가모델이 필요하다.
저자
Carlo Alberto Magn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9
권(호)
198
잡지명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22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