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nAs 나노와이어 MOSFET의 축소화 특성에 대한 밴드구조의 영향

전문가 제언
○ InAs는 밴드갭이 좁은 반도체로서 상온에서 실리콘보다 약 20배 정도 전자 이동도가 높다. 이는 InAs에서 전자의 유효질량이 작기 때문이다. 또한 이 물질은 표면 효과 없이도 전도성 InAs 나노와이어를 제작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무어의 법칙이 끝날 것이라는 예언이 여러 번 틀려 왔지만 이제 트랜지스터의 근본적인 한계,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원자의 숫자를 셀 수 있는 수준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부적인 원자 배열과 양자역학적인 거동이 소자 이해의 핵심사항이 되어 있다. 소자의 구조가 축소화될 뿐 아니라 평면에서 3-D로 변형(morphing)되고 있으며 새로운 원소가 등장하고 있다. 이제 새로운 소자라는 말과 새로운 재료라는 말이 구분이 불분명한 시대로 접어들고 있으며 수송 모델링은 원자 및 양자 개념을 도입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 이와 같은 원자 수준까지의 분석을 위하여 다양한 모델 및 툴이 개발되어 제시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과거 Texas Instrument 사가 개발한 RTD(resonant tunneling diode)가 등장할 때 물리기반 모델로 제시되었던 NEMO1D(Nano Electronic Modeling -1D)이었으며 이것은 NEMO3D를 거쳐 지금은 OMEN의 명칭으로 제공되고 있다.

○ 이 글에서 InAs 나노와이어 MOSFETs의 전자 특성 및 전하수송 특성을 검토하였다. 나노와이어 밴드 구조는 원자론적 sp3d5s? 최인접원소 밀착결합(tight-binding) 모델로 계산하였다. 밀착 구속 해밀터니언(Hamiltonian)의 고유값(eigenvalue)을 계산하기 위하여 Jacobi?Davison 방법을 사용하고 소자 전류 및 커패시턴스는 준분석적(semi analytical)인 탄도 모델(ballistic model)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상용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모든 과정을 직접 고안한 모델과 시뮬레이터로 수행하였으므로 앞으로도 자유로운 응용이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
저자
Erik Lind, Martin P. Persson, Yann-Michel Niquet, Lars-Erik Wernerss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9
권(호)
56(2)
잡지명
IEEE Transactions on Electron Devi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01~205
분석자
황*룡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