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성 장애에 대한 Valproic acid
- 전문가 제언
-
○ C5의 포화지방산인 Valeric acid에 propyl기가 결합되어 있는 Valeric acid의 유사체인 Valproic acid는 실험실에서 오랫동안 유기화합물의 용매제로만 사용되어 오다가 1962년 Pierre Eymard가 항발작작용에 대한 여러 가지 약제의 용매로서 사용하는 중에 우연하게 발견한 항경련제이다. 이후 편두통이나 양극성 장애에도 사용되어 왔다.
○ 아직도 Valproic acid의 작용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확립되어 있지 않지만 가장 일반적인 이론은 Valproate가 전압감응성 나트륨채널을 차단함으로서 고주파의 반복성 신경세포의 발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또한 뇌내 신경전달 억제물질인 GABA의 합성효소인 GAD (Glutamic Acid Decarboxylase)의 작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있다.
○ 그러나 Valproic acid로 치료받는 환자가 간 손상에 의해 죽음에 까지 이른 경우도 있으며 특히 어린이 간질환자에 대한 Valproic acid 치료에는 매우 주의를 요하는 치료제이다.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설사, 복통, 소화불량, 체중변화, 떨림, 탈모 등이 있으므로 전문의의 지도가 필요하다.
○ Valproic acid는 양극성 장애에 있어서 특히 조증의 경우 리튬과 같은 정도의 치료효과를 보이지만 최근 새로이 개발되는 비정형 항정신병약과의 병용에 의해 Valproic acid 단제치료로 효과가 없는 증상에서도 개선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 그러나 양극성 장애는 병상태가 종결된 후 재발되는 경우까지의 기간이 수년이 걸리기도 하기 때문에 이 기간동안의 복약습관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재는 의사의 경험에 의한 치료지도가 주를 이루므로, 이를 원인을 규명하여 치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뇌 내 신경물질의 전달과정과 같은 이들 질환의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는 새로운 뇌질환에 대한 연구방법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Ki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60(7)
- 잡지명
- 藥局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729~2733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