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소기능 대체를 위한 새로운 접근
- 전문가 제언
-
○ 희유금속은 주로 철강제의 첨가제나 특수강의 주원료로 사용된다. 이 뿐만 아니라 전기?전자재료, 자성재료, 화학용 촉매 등 산업 전반에 걸쳐서 사용되는 필수원료이다. 즉 산업이 발전할수록 그 수요는 증가할 수밖에 없다.
○ 우리나라는 자원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자원빈국이다. 또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의 디지털 미디어 제품과 자동차, 선박 등을 수출하는 수출주도형 경제구조이다. 따라서 수출이 증가하면 원자재의 수입도 필연적으로 증가한다. 대일무역 역조현상이 발생하는 가장 큰 요인도 여기에 있다.
○ 우리 정부는 그동안 국가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에너지 자원 확보에 외교적 역량을 쏟았다. 최근에는 희유금속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희유금속의 비축 물량을 증대시키고 있다. 또 자원 재생과 관련한 리사이클링 업체에 대한 규제를 철폐하고 연구개발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나아가서 대기업을 중심으로 자원 확보를 위한 해외투자도 증가하고 있다.
○ 국내의 많은 재료산업 업체는 그동안 투자한 연구개발의 결과로 독자적인 재료설계 기술을 확보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고가의 원료를 저가의 원소로 대체하여 재료비 비중을 낮추는 방식으로 상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자원 리사이클링과 관련한 특허출원 건수가 대폭 증가하고 있는 것도 고무적인 현상이다.
○ 우리는 앞으로 다가올 자원위기와 자원관리에 대한 취약성을 고려하여 더욱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내용과 같이 재료 과학자들은 새로운 개념과 사고로 희유금속의 사용을 억제할 수 있는 원소 대체재료 개발에 발상 전환이 필요하다.
- 저자
- Kohmei Hala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56(4)
- 잡지명
- 粉體およぴ粉末冶金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69~176
- 분석자
- 허*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