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활성 글리코겐의 개발
- 전문가 제언
-
○ 글리코겐은 그 구조가 다양하고 변화가 심하여 이에 대한 분석적 접근이 어려웠다. 본 연구는 복잡하고 변화가 심한 대상을 단순화 할 수 있게, 글리코겐의 구조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글리코겐의 건강기능성을 찾아낸 사례라 할 수 있다.
○ 글리코겐은 체내에서는 간이나 근육에서 에너지원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이외의 작용에 대해서는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다. 효소합성 글리코겐은 고순도이고 또한 분자구조의 제어도 가능하므로, 이번의 연구결과로 말미암아 글리코겐의 체내에서의 기능에 대한 기초연구를 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 건강을 지탱하는 인자는, 특히 대사성질환에서 볼 수 있는 그 끝없는 복잡성 때문에(분석적 태도를 견지하고 있는 현대 과학적 접근법으로는) 완벽한 해명에는 한계를 느끼게 한다. 그런 이유 때문에 발전의 여지를 많이 남겨두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 경구 섭취한 효소합성 글리코겐은 부분적으로 소화되지만 고분자 상태로 장관에 도달한다. 그곳에서 점막면역조직의 세포를 자극하여 면역부활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일부 글리코겐은 하부 장관까지 가서 식이섬유가 가지는 생리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 천연 글리코겐의 경우는 분자내부의 α-1,6 결합의 분포 때문에 보다 저분자로 소화되는 것이다. 홍합에서 추출한 천연 글리코겐을 사용한 경구투여 실험에서도, 하부 장관에까지 도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시에 섭취하는 식품의 종류나 신체적 상태에 따라서도 하부 장관에까지 도달하는 정도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글리코겐이 면역력을 활성화하는 효과, 즉 면역부활효과는 오래 전부터 시사되어온 바이나, 이에 대한 과학적 연구결과는 흔하지 않다. 이번의 연구는 합성한 고순도의 효소합성 글리코겐을 사용하여 본격적인 항종양 효과를 검토함으로써 새롭게 관심을 일으킨 결과로 생각된다. 여기에 더하여 글리코겐의 건강효과나 면역부활작용의 원인, 기작이 무엇인지를 해명하는 일이 앞으로의 과제로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 저자
- TAKADA Hiros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52(10)
- 잡지명
- 食品工業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2~58
- 분석자
- 남*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