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 대동맥류의 3차원 형상 재구성
- 전문가 제언
-
○ 복부 대동맥류(AAA, Abdominal Aortic Aneurysm)는 몸에서 가장 큰 동맥인 대동맥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풍선처럼 부푸는 상태이며 잠재적으로 치명적이다. 대동맥은 심장으로부터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몸 구석구석의 더 작은 혈관들로 보내준다.
○ 복부 대동맥류는 심장에서 나온 대동맥이 복부 부위에서 풍선처럼 넓어진 상태를 말한다. 대동맥(aorta)은 심장에서 나온 가장 큰 동맥으로 우리 몸 전역에 피를 공급하는 혈관이다. 산소가 풍부한 혈액이 심장에서 나와 가슴부위의 흉부대동맥(thoracic aorta)을 지나 복부로 내려오면 이를 복부 대동맥(abdominal aorta)이라 부른다.
○ 이 논문에서는 제한된 수의 CT 영상으로부터 복부 대동맥류(AAA)의 3차원 형상을 재구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컴퓨터 기법을 제안하였다. 건강한 복부 대동맥의 3차원 모형형상을 선험적인 지식으로 사용하였다. 환자의 특정한 AAA 형상을 얻기 위하여 모형형상은 EFFD(Etended Free-form Deformation)에 의해서 변형된다.
○ AAA, 즉 퇴행성질환은 자주 동맥벽 파열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파열 대부분 죽음으로 이끌기 때문에 AAA 파열의 정확한 예측은 중요하다. 최대 동맥벽 스트레스가 동맥류의 형상에 달려있기 때문에 단층촬영으로부터 얻어진 환자의 특정한 AAA의 형상은 파열 위험을 평가하기 위한 생체 역학분석의 기본이 된다.
○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고혈압, 흡연, 고지혈증, 폐기종(emphysema), 동맥벽의 염증, 60세 이상의 남성 그리고 유전적 원인으로 부모나 형제가 같은 질환이 있을 경우 등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나이가 들면서 발병율이 높아지고 여자에 비해 남자가 높이 나타난다.
○ 복부 대동맥류는 한번 생기면 계속 진행되고 현재로선 약물 등으로 병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기 때문에 혈관 내부까지 볼 수 있는 3차원 영상술 등으로 조기 진단하여 치료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 저자
- Mun-Bo Shim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41
- 잡지명
- Computer-Aided Desig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555~565
- 분석자
- 마*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