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콘텐츠 개작 관리기법 및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디지털 콘텐츠는 유?무선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부호·문자·음성·음향 이미지·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 처리, 유통하는 자료 또는 정보 등을 의미한다.
○ 디지털 콘텐츠는 구입, 결제, 이용 등으로 구성되는 일련의 유통과정을 모두 네트워크와 PC로 처리하기 때문에, 종래의 통신판매 범위를 초월한 전자 상거래의 독자적인 분야로서 시장 확대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 디지털 콘텐츠 산업은 제작산업과 서비스산업, 그리고 솔루션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작 분야에는 게임, 디지털 영상, 디지털 음악 등의 제작산업이 있으며, 서비스산업에는 디지털 방송, 정보 콘텐츠 서비스, e-learning 등이 현재 서비스 되고 있다. 솔루션 산업으로는 저작 툴, 콘텐츠 보호, 과금 및 결제 툴 등의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 국내에서도 이미 2000년도 초반부터 디지털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관련 산업발전을 위한 각종 산업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 최근 정부는 양방향 대화형 콘텐츠, 컴퓨터 그래픽스, 가상현실, 모바일 웹 기반 콘텐츠 개발 등과 관련된 산업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 현재 영화에서 활용되는 3D 애니메이션은 거의 대부분 전문 스튜디오에서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영화제작에서도 개인이 개발한 3D 모델을 활용하는 경우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소규모 애니메이션 제작자들이 공동으로 제작하는 경우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 따라서 모델 제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동시에 디지털 콘텐츠 공동개발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술적 대책이 필요하며, 관련 시장은 점차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콘텐츠 공동개발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적 대책을 제안한다. 제안된 대책은 콘텐츠 거래 및 중개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 저자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3766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9
- 분석자
- 고*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