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만치료를 위한 새로운 식물화학적 조성물

전문가 제언
○ 최근 10년 사이에 지방세포가 증가하거나 크기가 커져 비만이라는 생리적 표현형이 임상적으로 난치성 성인병의 위험률을 높인다는 사실이 많은 역학조사에서 밝혀졌고, 실제 체중 감소가 이러한 질환의 발병률을 현격히 감소시키는 사실도 잘 알려져 있다.

○ 병리학적으로는 WHO에서 정한 이른바 표준몸무게 기준치(BMI, Body Mass Index)가 30 이상인 경우에 비만증이라고 일컫는다. 비만은 그 자체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문제는 비만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사회적 장애와 과다한 지방으로 생기는 2차적인 합병증으로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지방간, 관절이상의 발생 비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 내장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leptin, PAI-1(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전사인자인 TNF-α 또는 Interleukin-6 등이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인슐린저항성을 유발한다는 사실과 비만이 심혈관계 위험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비만에 의해 혈중 PAI-I이 내장지방 증가와 비례하여 증가된다는 보고는 복부비만이 심혈관 질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을 암시한다.

○ Leptin은 최초로 지방세포가 내분비 기관으로써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해준 물질로 과거부터 알려져 왔던 대표적인 비만 및 인슐린저항성 당뇨병의 표현형을 갖는 실험동물인 ob/ob 마우스에서 클론 되었다. 비만한 사람의 지방세포에서의 렙틴 mRNA와 혈청렙틴 양자 사이에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Curcumin 유도체는 이미 항염증을 비롯한 여러 가지 생리활성이 밝혀지고 있는 천연물 성분으로 그 탈메틸화 유도체가 특히 비만 예방과 치료에 탁월하다는 본 발명은 매우 특이한 사실이며, 더욱이 이 유도체들이 함유된 식물 추출물과의 조성물이 비만 억제에 상승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은 새로운 사실로 평가된다. 다만 복잡한 비만 관련 기전들과의 상호관계와 안전성 구명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생각된다.
저자
GOKARAJU GANGA RAJU, GOKARAJU RAMA RAJU, GOLAKOTI TRIMURTULU, CHIRRAVURI VENKATESWARA RAO SOMEPALLI VENKATESWARLU, BHUPATHIRAJU KIRAN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WO20090066303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3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