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이보그 의료와 생명윤리

전문가 제언
○ 사이보그(cyborg)는 1950년대에 의학자들이 만든 낱말로서 사이버네틱 오거니즘(cybernetic organism)의 줄인 말이다. 미래에 인간이 우주 공간이나 바다 속에서 생활해야 할 경우 특수한 인공 장기를 달아 물속에서 숨을 쉴 수 있게 한다거나 기계 팔을 달아 정상인보다 더 강한 완력을 낼 수 있게 하는 등의 가능성을 연구하면서 생겨난 개념이다. 따라서 사이보그란 로봇이나 안드로이드(android)와 달리 처음부터 사람을 대상으로 인간공학적 기술로 탄생되었다.

○ 아무리 단순한 기술이라도 인공적인 산물이 인체와 결합되었다면 그것은 이미 사이보그라는 견해도 있다.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기계를 장착하여 개체의 여러 기능을 조절하고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인체에 심박조절기를 삽입하거나, 당뇨병 치료를 위해 인슐린 주입기를 부착한 사람도 이미 사이보그인 셈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보청기, 콘택트 렌즈의 사용까지도 넓은 의미에서 사이보그라 할 수 있다.

○ 사이보그 의료는 주로 말초신경이나 근육을 매개로 한 신체의 연장 기술로서 개발이 추진되어 왔으나 이와 병행하여 최근의 커다란 흐름의 하나가 중추신경을 매개로 하는 기술에 대한 도전이다. 이 흐름은 제1회 “사이보그의 현상과 미래”에도 기술되어 있으며, 입력(감각)계 사이보그나 출력(운동)계 사이보그에도 공통되는 경향이다.

○ 생명윤리학은 일종의 응용윤리학으로서 어떻게 우리가 다 같이 인정하고 있는 윤리적 원칙을 생명의 영역에서 생기는 특수한 상황에 적용해야 하는가의 기술적 문제를 검토하는 분야이다. 그것은 의학과 첨단 생물학의 발달로 가능해진 여러 가지 문제들의 윤리적 정당성과 그 한계를 다룬다.

○ 앞으로 발생할 문제의 하나는 사이보그 의료와 BMI 의료의 부작용이다. 기능대체형 BMI의 경우 상실된 기능은 이미 회복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다른 것과 바꿔놓는다. 한편, 치료형 BMI에서는 기능을 보조하면서 그 회복을 기대한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BMI를 사용함으로써 신체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저자
Chiaki Kaga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9
권(호)
48(3)
잡지명
計測と制御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280~285
분석자
이*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