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한국의 해조류 바이오디젤 기술의 가능성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 2006년 신재생에너지는 총 사용에너지의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1년에 5%, 2030년에는 9%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바이오 디젤의 사용량은 디젤 연료의 1%에 불과하며, 2012년에 3%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속되는 고유가 상황 속에서 국내 화석연료 소비량의 10%인 580만 배럴의 바이오 연료를 국내에서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은 국가 경제 안정성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 우리나라의 2005년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5.9억 톤에 달하고 있으며, 이는 1990년에 비해 98.7%가 증가한 수치로 세계에서 6번째로 많은 배출량이며,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빠른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다. 교토의정서의 의무 대상국이 아닌 우리나라의 바이오 연료의 도입의 추진은 매우 미흡하다. 그러나 온실가스 배출이 바이오 연료에서는 Zero-count 된다는 점에서도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정부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환경 친화적인 대체에너지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차세대 바이오 연료를 개발하는 기술은 국가적 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 아직까지 선진국에서도 기술 개발이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차세대 바이오 연료에 대한 더욱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 신재생에너지의 적극적인 개발을 위하여 셀룰로오스를 이용하는 2세대 바이오 연료와 해양 자원을 이용하는 3세대 바이오 연료의 개발도 조속히 검토되어야 한다. 그러나 셀룰로오스를 화학적으로 분해하는 기술은 아직까지 어느 나라도 개발하지 못하고 있으며, 해양 자원을 확보하고 가공하는 일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기초적이고 실질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저자
Byung-Hwan Um, Young-Soo Ki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15(1)
잡지명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7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