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연료가 정치, 경제,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 연료는 화석연료와는 다른 신재생 에너지로 바이오 연료는 바이오 알코올과 바이오디젤을 합해 지칭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바이오 연료는 살이 있는 유기체 뿐 아니라 동물의 배설물 등 대사활동에 의한 부산물을 모두 포함된 바이오매스로부터 얻는 연료를 말한다.
○ 바이오 연료를 생산하기 위해 미국에서는 콩과 옥수수를 재배하거나 유럽에서는 아마씨나 평지씨 등이 재배되고 있으며, 가정이나 산업체의 유기물 쓰레기로부터 바이오 연료를 생산한다. 아직은 바이오매스를 태워서 열에너지를 얻는 방법에 그치고 있지만 앞으로 자동차 연료와 전기 생산을 위한 연료로 전환하는 데 기술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 바이오 연료는 2005년 현재 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15%에 불과하지만 대부분 산업화 이전 단계의 국가에서 난방과 취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선진국들은 대부분 화석연료를 주 에너지원으로 하고 있으며, 기술개발을 통해 바이오연료의 사용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북유럽의 스웨덴과 핀란드는 이러한 노력으로 전체 에너지의 약 18%를 바이오 연료를 통해 얻고 있다.
○ 바이오 연료의 연소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바이오연료의 소비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는 그 동안 식물이 성장하기 위해 이전 몇 해 동안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온 것을 감안하면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는 없다고 할 수 있다.
○ 지속되는 고유가 상황 속에서 국내 가솔린 소비량의 상당 부분을 바이오 연료에 의해 국내에서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은 국가 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교토의정서에서도 바이오 연료는 온실가스의 배출규제에서 제외된다는 관점에서도 바이오 연료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 연료의 생산 기술의 개발로 국내에서 대체 연료생산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저자
- Ayhan Demirba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9
- 권(호)
- 잡지명
- Applied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10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