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표면 분진의 생체 영향
- 전문가 제언
-
○ 유인 우주선의 달 착륙 지점과 영구기지의 물색을 위한 NASA의 달 탐사선(LRO와 LCROSS)이 2009.6.18 플로리다주의 우주센터에서 발사되었다. 달에 거주지를 건설하는 콘스텔레이션 프로젝트는 2020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한국도 2009년 6월 나로 우주센터의 준공과 곧 있을 최초의 우주위성 발사로 본격적인 우주개발에 진입한다. 최근에는 경주 지방의 흙을 이용해 달 유사토를 세계에서 5번째로 개발했다.
○ 이런 추세와 함께 우주환경에서의 생활에 따른 유해요인 및 인체영향에 대한 문제가 주목받고 있다. 그중에서 달 표면 개척과 관련된 주요 과제로는 달 표면에서의 면역학적 진단, 달 표면 분진 대책, 유인활동을 위한 우주방사선 영향 및 체류 임무 수행에 필요한 운동생리학 등에 관한 연구 등을 들 수 있다.
○ 현재 달 표토 중에는 나노입자와 섬유상 입자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그 유해성이 시사되었다. 따라서 특히 미세한 이들 나노입자의 구체적 성분과 함량에 대한 분석과 장기체류에 의한 호흡기능에 미치는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한편 독성이 큰 유해물질이라도 사용 시에 적절한 관리대책을 수립하면 유해성이 작아지며,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노출 가능성이 커지면 위해성은 증가된다. 따라서 작업환경 관리의 측정과 평가에서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대상은 작업자의 노출 가능성을 고려한 위해성이다.
○ 궤도 체류 중이나 귀환 후의 우주생활자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단기체류에서는 현재화되지 않는 장기체류에 의한 생체에의 영향 등에 대해 주로 라이프 사이클이 짧은 모델 생물을 이용한 조사, 연구를 효율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오염 사고 후의 역학조사나 동물실험 혹은 배양 세포실험에 의한 인체영향 평가로는 큰 한계가 있으므로 인체조직을 이용한 효과적인 새로운 실험법의 개발이 급선무이다.
- 저자
- Yasuo MORIMOTO, Takeo MIKI, Toshiaki HIGASHI, Toshihiko MYOJO, Kazunari TANAKA and Chiaki MUK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24(2)
- 잡지명
- エアロゾル硏究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29~134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