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과 태양광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의 현황과 전망
- 전문가 제언
-
○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란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IT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실시간에 전력 흐름에 대한 정보를 양방향으로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이용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스마트 그리드가 달성코자 하는 목표 중 하나가 신재생에너지의 전력 생산 비중을 높여 나가는 것이다.
○ 우리나라도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발전비중을 11%까지 높이겠다는 방침을 정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2030년까지 풍력의 발전비중을 20%까지 높이겠다고 밝힌바 있다. 그러나 풍력이나 태양광 같은 분산 형 전원의 전력계통 연계가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존 전력망과 신재생에너지를 접목하는 기술의 개발 및 조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 독립 전력망 내에서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태양광/풍력과 고속디젤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태양광/풍속에 의해 생산되는 에너지가 부족할 경우, 디젤발전기가 즉각 작동되어 전력생산의 부하를 최대한 유지시켜 주는 시스템으로, 전력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출력변동을 최소화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 에너지의 생산 원가가 계속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의 경제적인 측면도 나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원가 이외에도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의 환경적인 이점은 시스템의 적용과 확산을 촉진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태양광/풍력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 기술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개발은 신재생에너지의 활용과 환경오염의 감소라는 두 가지 과제를 달성하는 데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자
- Pragya Nema, R.K. Nema, Saroj Rangneka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13(8)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096~2103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