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줄기세포로부터 혈액세포를 대량생산하기

전문가 제언
○ 현재까지 적혈구 수혈은 안전하지만 수혈용 적혈구를 산업적으로 생산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희귀혈액형에 대해서는 주기적으로 부족현상이 발생되고 있고, 또 신종병원균들의 오염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사람배아줄기세포나 다기능간세포(pluripotent stem cells)는 시험관에서 미분화세포 상태로 장기간 계속적인 세포증식이 가능하다. 미분화세포를 성숙 적혈구로 효과적으로 분화시키는 방법이 개발된다면 적혈구 세포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무한정한 세포공급원이 된다.

○ 적혈구 대량생산의 현실성을 강하게 암시하는 연구 결과가 2002년에 발표되었다. Neildez-Nguyen 등은 태반혈액의 CD34+세포를 무려 20만 배의 적혈구 전구세포로 증식시켰다. 그 후 같은 연구팀은 태반혈액의 CD34+세포로부터 제핵적혈구(enucleated RBCs)를 만드는 배양공정도 발표하였다. 공급자세포(feeder cells)와 함께 배양하면 정상 적혈구와 기능적으로 유사한 제핵적혈구를 200만 배까지 수적으로 팽창시켰다.

○ Flat bed 및 hollow fibre 등의 막 관류 배양기(membrane perfusion bioreactors)를 사용하면 더 높은 세포밀도 배양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새로 공급되는 영양물질이 세포까지 도달하는 거리가 짧기 때문에 교반 없이 계속적인 영양공급과 대사폐기물 제거가 가능해서 세포밀도를 2×108 cells/mL까지 높일 수가 있기 때문이다.

○ 까다로운 조직검사 및 세포채취로 인해 호중구 수혈은 세계적으로 몇몇 전문 의료기관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호중구 부족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매일 최소 1010개의 호중구를 수혈해 주어야 한다. 태반혈액량에는 5×106 CD34+세포가 들어있는데, 현재의 체외 증식기술로는 400배 증폭이 가능하며 하루 필요량의 20% 정도의 호중구밖에 만들어내지 못한다.

○ 조직이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세포 스스로가 기능 조직의 환경에서 자연적으로 적응하여 분화되도록 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저자
Nicholas E. Timmins and Lars K. Nielse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27(7)
잡지명
Trends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15~422
분석자
장*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